본문 바로가기

질병

[ 고환 ] 고환염 부고환염 고환통증원인 과 증상.

[고환염 부고환염 고환통증원인]

부고환은 고환의 후외측부에 위치하며 쉼표 모양의 기관으로 고환에서 형성된 정자가 이곳을 통과하면서 성숙되고 운동성을 취득하는 곳이다. 즉 정자는 부고환을 거치면서 완전한 수태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고환은 내분비작용으로 테스토스테론 등을 생산하고 외분비기능으로 정자(sperm)을 생산한다. 고환과 부고환은 풍부한 혈관과 림프관들이 분포되어 있으며 고환은 특히 혈액-고환 장벽체계(blood-testis barrier system)가 있어 감염에 대한 강한 저항체계를 갖는다. 이러한 고환과 부고환에 세균성 혹은 비세균성·염증이 올 수 있으며 이를 고환염/부고환염 이라고 한다.



부고환염 원인
:
주로 하부요로에 있던 병원균의 상행성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외상, 요도기계 삽입 및 전립선 수술 등도 원인이 된다. 원인균으로는 40대 이하의 남성에서 성교전파 세균인 C. trachomatis가 가장 흔하며, 40세 이상의 남성에서는 대장균이 보다 흔하다. 따라서 40대 이하의 부고환염은 성교전파성 질환인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세균뇨나 전립선염에 이차적으로 병발한 것이 많다. 이들 세균이 부고환에 이르는 경로는 요도나 전립선에 있는 병원균이 요중에 포함되어 배출될 때에 요류의 압력 상승으로 정액이 나오는 정관으로 역류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요관-정관역류는 심한 운동이나 성적 흥분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간혹 소아나 청소년에서 발견되는 재발성 부고환염에서는 요관의 선천성 기형 동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결핵의 높은 유병률로 인해 결핵성 부고환염을 항상 염두해 두어야 한다.

 

최근  고환염  더보기



 부고환염 원인
:
부고환염 없이 고환염만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 이유는 고환은 혈액과 림프액을 풍부히 공급받으며 고환백막으로 보호받고 있고 혈액-고환 장벽체계가 있어 감염에 대한 강한 저항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 장기의 감염성 질환이 혈관, 림프관, 정관 등을 따라서 감염되는 이차적 감염이 대부분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청소년기에서 청장년층에 호발하는 바이러스성 이하선염(mumps)으로 이 중 20~35%에서 급성 고환염이 합병증으로 발생하고, 이하선염 발생 후 4~6일에 매우 돌발적으로 고환염이 시작된다. 그 외 결핵성 부고환염의 직접 전파의 경우도 원인이 될 수 있고 매독의 경우 후기매독의 합병증으로 올 수 있고, 육아종성은 정자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비감염성 염증과정으로 중년 이후에 흔히 고환염이 생긴다.



급성 고환염 증상
:
  이하선염 발생 후 4~6일에 매우

돌발적으로 고환염이 시작된다. 음낭은 붉어지고 부종을 보이며 심한 고열과 전신피로를 나타내고 급성 음낭수종 소견을 보이기도 하며 촉진시에 고환과 부고환이 감별되지 않는다. 단, 부고환염과는 달리 배뇨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대개 고환염의 발생 후 7~10일 정도 지나면 모든 증상이 서서히 자연 소실된다.



급성 부고환염 증상 
:
  심한 통증이 갑자기 음낭 내에 발생하면서 서혜부를 따라 동측의 하복부 및 측복부까지 파급된다. 부고환을 촉진시(고환의 후외측부에 위치) 매우 압통이 심하며, 불과 수 시간 내에 크게 커져, 고환과 부고환의 구별이 안 될 정도로 하나의 큰 종물로 되고 보행하기조차 힘들어 진다. 전신에 고열이 나면서, 요도분비물이 보이기도 하고, 간혹 혼탁뇨를 동반한 요도염, 방광염, 전립선염의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음낭은 서서히 커지면서 붉어지고 건조해지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얇아지는 데, 농양이 심하면 자연 파열된다. 정삭(spermatic cord)은 부종으로 굵어지고, 전립선 촉진시 급-만성 전립선염의 소견을 보인다. 급성 부고환염 때에 전립선마사지는 부고환염을 더 악화시킨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질병정보

 

최근  고환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