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 고혈압 ] 고혈압 수치와 고혈압 증상에 따른 고혈압증상진단. 합병증과 고혈압 낮추는 방법? 고혈압에 좋은 음식?


고혈압 수치와 고혈압 증상에 따른 고혈압증상진단.  합병증과 고혈압 낮추는 방법?  http://searchtime.kr/
고혈압 증상 :  혈압이 올라가서 내려가지 않고 높은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으므로 무언(無言)의 살인자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고혈압의 증상은 뒷머리가 뻐근한 두통, 어지러움증, 코피, 피로 등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고혈압 환자는 혈압이 높더라도 아무런 증상 없이 지내다가 신체검사 등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고혈압에 의해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코피, 혈뇨, 어지럼증, 시야흐림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부전에 의한 협심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고혈압 원인 : 모르는 체질적인 경우가 90%나 되며 이를 본태성 고혈압이라 한다. 고혈압은 유전적인 성향이 강한 질환으로 가족 중에 고혈압이 있으면 고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다른 병이 있어 2차적으로 오는 이차성 고혈압이 10% 정도 되는데, 콩팥이상(신장염)이 원인으로 가장 많으며, 드문 원인으로는 내분비 장애, 순환기 장애, 중추신경이상, 임신중독증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원인을 찾아 제거하면 완치할 수도 있으므로 가족력이 없는 젊은 사람에게서(40세 미만) 혈압이 높고, 일반적으로 쓰는 고혈압약제로 혈압이 잘 떨어지지 않을 때는 이차성 고혈압의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의 진단 :  고혈압의 수치는 한 번의 측정으로는 고혈압이라 할 수는 없습니다.  적어도 2회 이상 안정 상태에서 측정하여 평균한 수축기혈압이 140mmHg이상 이거나 확장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혈압이 높을 때는 고혈압의 정도 외에 합병증의 유무를 살피는 검사도 행합니다. 또 그 고혈압이 특별한 원인이 없는데도 발생한 고혈압인가, 혈압을 높이는 병이 있어 발생한 2차성 고혈압인가도 검사합니다.
고혈압검사 : 1)요검사 2)혈액검사 3)흉부X선검사 4)심전도 검사 5)안저 검사.
고혈압 합병증 : 심장은 혈액을 온 몸에 보내주는 펌프로서의 기능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높은 혈압을 이겨가며 오랫동안 일을 하다보면 심장에 부담이 와서 심장 벽이 두터워지고, 심장이 커지고 심부전증이 올 수 있으며, 혈관에는 동맥경화증이 올 수 있다. 고혈압은 흡연, 콜레스테롤, 당뇨와 함께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4대 주요 위험요인이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는 협심증,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며 뇌혈관의 동맥경화는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혈압을 오랫동안 높은 상태로 방치하면 콩팥의 혈관에도 부담을 주어 콩팥의 전해질, 수분, 노폐물을 거르는 기능을 저하시켜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혈중 크레아티닌(Cr)은 신장 여과율을 반영하며, 이의 증가는 여과율 감소를 뜻함으로 관심있게 보아야 할 수치이다. 눈 망막의 소동맥에도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질병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