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archtime.kr/
늑막염이란 폐는 물기가 있는 두 겹의 막(흉막 또는 늑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바깥쪽 막은 흉곽 안쪽에 붙어 있고 안쪽 막은 폐 자체에 붙어 있다. 두 겹으로 된 흉막 사이의 물기는 좁은 공간에서 폐의 수축과 팽창을 규칙적이고 부드럽게 해주는데, 이런 흉막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늑막염 또는 흉막염이라 한다.
늑막염의 원인 늑막염은 폐에 어떤 질병이 있을 때 그 증상 가운데 한 가지로 나타나며, 원래의 질병 종류에 따라 감염성, 외상성, 암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감염성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결핵, 사코이도시스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다. 늑막염이 진행하면 흉막강에 액체가 괴어 흉수라는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병변이 화농성이면 농흉이라고 해서 흉수가 끈적한 황갈색으로 변하고, 암성이면 괴는 흉수가 흔히 혈액과 섞이게 되며 빼낸 다음에도 곧바로 다시 고이게 된다. 흉수는 늑막염 뿐만 아니라 만성 관절 류머티즘이나 간장병, 신장병, 심장기능부전이 있을 때도 동반될 수 있다.
늑막염의 증상 기침을 하거나 심호흡 또는 크게 웃을 때 가슴에 통증을 느끼고, 차츰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암이 퍼져서 생긴 경우에는 안정을 하고 있어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점점 더 심해 질 수 있다. 통증과 함께 열이 나고, 흉수가 많이 차면 숨쉬기가 힘들게 된다. 이렇게 흉수가 차게 되면 오히려 통증은 줄어 들 수가 있다.
늑막염의 진단 숨쉴 때마다 가슴에 통증을 느끼거나 발열, 호흡곤란 등이 있으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진단은 우선 청진이나 타진으로 염증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흉부X선 촬영으로 흉막이나 폐의 상태를 조사한다. 이후 흉막침윤으로 흉수가 생긴 것이 의심되면 흉막천자(주사기로 삼출액을 뽑는 일)를 하여 검사를 한다.
늑막염의 치료 치료는 원인이 되는 기초질환 치료가 유일한 치료법이다. 결핵이나 세균감염에 의한 경우에는 항균제 투여와 흉막의 유착을 막아주는 방법이 사용되며, 호흡이 곤란할 경우에는 주사침으로 흉수를 뽑아내야 한다.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비스테로이드 소염제가 처방되거나 늑막염을 유발하는 원인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질병정보
출처 특명 몸짱만들기 http://tvpot.daum.net/v/20175405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관련 통증(痛症) 대하여] 통증 클리닉 BEST~7 Ψ (0) | 2010.10.25 |
---|---|
[ 불임 ] 불임증 원인,진단,미성숫난자의 체외수정. 불임전문병원의 불임검사 비용? (0) | 2009.12.11 |
[ 난시 바로알자 ] 난시로 고생하는 분들을 위한 난시치료법. 눈 좋아지는 법? (0) | 2009.12.09 |
[ 다이어트 ] 거식증(anorexia nervosa)은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이다,폭식증,과식증,다식증~~ (0) | 2009.12.09 |
[ 숙취해소 ] 술 먹고 머리 아플 때 숙취해소하는 방법. 숙취해소 음료? (0) | 2009.12.08 |